전체 글389 기초컴퓨터네트워크 18 (Addressing) === Addressing === data plane에 대해서 알아보자 1. Internet address • To send a message, we need a destination address : ip address를 생각하면된다. 패킷이 목적지까지 전달하기 위해서는 목적지의 주소가 필요하다. 이때 host의 주소를 internet address라고(ip address)라고 한다. • Every host connecting to the Internet needs to have a unique address : 이 ip 주소는 unique해야 한다. • IPv4 – the address system used today – 32 bits – possible number of hosts: 4,294,96.. 2021. 6. 19. 기초컴퓨터네트워크 17 (BGP) === Border Gateway Protocols (BGP) === inter-domain routing에서 사용되는 BGP 에 대해서 알아보자 1. Flat vs. Hierarchical Networks 네트워크가 전체적으로 Flat 하기 보다는 계층적인 구조로 되어 있다. • Flat – No hierarchy – Not scalable • Hierarchical – Network divided into “areas” – Scalable • Internet is hierarchical Autonomous System(AS) 같은 라우팅 policy가 적용되는 라우터의 집합 혹은 망이다. • Collection of networks with same routing policy • Single rout.. 2021. 6. 19. 기초컴퓨터네트워크 16 (OSPF, RIP) Count-to-infinity problem distance vector은 목적지와 거리 정보를 교환함으로 각 라우터들이 모든 목적지에 대한 가장 좋은 경로를 알 수 있게 되는 방식이였다. 하지만 문제점이 하나 존재하는데 어떤 네트워크의 변화가 생기었을때 적응하기까지 오래걸릴 수 있다. 이게 바로 Count-to-infinity problem이다. • A problem in distance vector routing • Consider the following network. After route table is finalized, the link between A and B breaks A-C링크가 굉장히 오래걸리어서 사용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 B does not know how to re.. 2021. 6. 19. 기초컴퓨터네트워크 15 (ch. 4 : Network Layer - network layer, Routing Algorithms and Protocols) === Network Layer === 1. Network Layer • Transports segments from sending to receiving host : sending 부터 receiving host까지 segment를 전달해주는 역활 • On sending side, encapsulates segments into datagrams : segment를 transport에서 받아서 datagram을 만든다. • On receiving side, delivers segments to transport layer : receiving쪽에서 datagram에서 header를 떼고 segment를 transport로 보내준다. • Network layer protocols in every host.. 2021. 6. 19. 이전 1 ··· 79 80 81 82 83 84 85 ··· 9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