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89

기초컴퓨터네트워크 06 (Web and HTTP, Socket, GET, POST, cookies, caches) === Web and HTTP === 웹서버와 통신이 가능하게 해주는 HTTP에 대해 다루어 보자 1. Web and HTTP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우리가 웹브라우저를 이용해서 서버에 접속, 서버가 컨텐츠를 보여주는 서버가 웹서버라고 부른다. 이때 웹브라우저가 클라이언트이다. 통신할때 사용하는 프로토콜이 HTTP이다. 웹페이지는 objects(HTML file, JPEG image, Java app, audio file...)로 구성되어 있다. web page는 base HTML file로 구성된다. HTML 파일 내에서 object 파일들이 reference 되어 있다.(영상, 파일 등등) 각 object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 =.. 2021. 6. 19.
기초컴퓨터네트워크 05 (ch. 2 : Application Layer - network application, socket, TCP, UDP) === Application Layer === 1. principles of network applications Creating network app write programs that 서로 다른 end system간에서 돌아가면서 네트워크로 메세지를 주고 받음 ex) browser을 이용해서 커뮤니케이션 하는 소프트웨어 no need to write software for network-core devices user application을 동작시키지는 않지만 앱 개발과 데이터 송신이 되도록 하는 코어들 Application architectures applications의 가능한 모델들 Client to Server Server 여러 Client가 서버에 접속 항상 켜져 있는 host 영구적인 IP.. 2021. 6. 19.
기초컴퓨터네트워크 04 ( Protocol layers, service models, security ) Queueing delay delay는 transmission delay(전송시간), propagation delay(송수신자간의 거리에 따른 지연시간), processing delay(노드에서 데이터 처리 시간), queueing delay(라우터에서 나가는 데이터보다 들어오는 데이터가 많은 경우)가 존재 R : link bandwitdh (bps) - 회선 전송속도 L : packet length (bits) - 패킷의 크기 a : average packet arrival rate - 1초에 몇개의 패킷이 라우터에 들어오는 가(랜덤의 갯수로 들어온다고 가정) La : 패킷이 들어오는 속도 R : 패킷이 나가는 속도 La/R ~ 0 : avg queuing delay small La/R -> 1 : a.. 2021. 6. 19.
기초컴퓨터네트워크 03 ( Network core, delay / loss / throughput ) 3. Network core(이어서) 망사업자가 깔아놓은 라우터들 : 빠른속도로 데이터를 원하는 목적지로 전달하는 역활 packet switching : (패킷 : 보내야할 데이터를 패킷으로 나눔) 패킷을 출발지로부터 도착지까지 보내는데 여러개의 라우터를 거치어서 패킷을 보내게 된다. 라우터간 회선의 속도에 따라 보내게 된다. store-and-forward source와 destination 사이에 많은 라우터들이 존재한다. store-and-forward : 중간 라우터에서 받은 데이터로 어디로 보내야할지 결정하고 전송해준다. end-to-end delay = 2 x L/R (propagation 딜레이가 없다고 가정할때 L은 보내는 패킷의 크기, R은 전송속도) 참고로 딜레이는 "propagatio.. 2021. 6.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