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389 CloudETC - 리눅스 가상 시스템 구축하기 리눅스 가상 시스템? 가상 시스템 : 물리적 자원을 논리적으로 나누어 사용하는 기술 + 여러 시스템 자원을 하나로 연결하여 하나의 시스템 자원처럼 제공하는 기술 -> 결론은 내것 전체만 쓰는 상태가 아니면 가상 시스템임 : 구체적 하이퍼바이저가 가상 엔진 위에 다수의 논리적인 운영체제를 올려서 운영하는 시스템을 가상 시스템이라고 정의 해서 대충 위와같은 구조이다. - 하이퍼바이저 : 물리적인 시스템에 다수의 가상 운영체제가 동시에 실행될 수 있게 해주는 논리적인 플랫폼(시스템 또는 소프트웨어) ex) 리눅스에서는 KVM(Kernel Virtual Machine - 가장 많이 사용), VMware, Virtual PC - KVM : 사용자 영역에서 가상 기술을 제공하는 하이퍼바이저 - QEMU(Quick .. 2022. 1. 5. Cloud 05 보면 test1.test.pri : 서버이름 3.10.0-1160.el7.x86_64 의 커널버전이다. 만약에 이 커널버전을 업그레이드한다고 하더라도 과거 프로그램이 안정적으로 돌아가지 않을 수 있다. partition vs Volume 볼륨 : 그냥 드라이브 파티션 : 공간을 나눈다는 말이며 나누어진 볼륨도 볼륨이라 부르고 그냥 나누어진 공간을 파티션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20g 정도의 공간의 일부 나눈 공간을 swap이라는 영역에 할당한다. swap은 가상메모리를 의미한다. 나머지 공간은 `/`로 할당 되며 루트 파티션이라고 명명한다. 그럼 루트 파티션 아래에 우리가 아는 디렉토리들로 배치된다. 이때 파티션닝을 다음과 같은 경우에 사용하게 된다. - 만약 여기에서 사용자들이 들어와서 사용할 공간들이 .. 2022. 1. 5. React.js & Node.js 9일차 JS는 싱글 스레드라서 콜스택식 밑에서부터 쌓아서 처리하는 방식이다. ??? 스택 ??? callBack 함수는 비동기함수 ??? --- axios promise기반 http 통신할 수 있는 API 이다. Promise 객체를 반환하기 때문에 async와 await를 쓸 수 있다. Context API 전역 상태를 관리하기 위해 Context API가 필요하다. props는 직접적인 자식에게만 보낼 수 있다.그래서 A에서 G로 넘기기 위해서는 계속 컴포넌트를 타야한다. 성능상에 있어서 Redux가 Context에 비해 유리하다고 한다. 왜냐하면 Context는 전체를 다 처리하기 때문에 그렇다고 한다. React Bootstrap을 구현해보자 만들기위해서 우선은 components > bootstrap .. 2022. 1. 4. Cloud 정리1(01~07) 참고한 자료 더북(TheBook): 오픈스택을 다루는 기술 더북(TheBook): 오픈스택을 다루는 기술 thebook.io 리눅스 더북(TheBook): 모던 리눅스 관리 더북(TheBook): 모던 리눅스 관리 thebook.io 더북(TheBook): 리눅스 서버를 다루는 기술 더북(TheBook): 리눅스 서버를 다루는 기술 thebook.io 0. 클라우드란? 1. 정의와 종류 2. 컴퓨트와 스토리지 파티션과 볼륨 볼륨 : 그냥 드라이브 파티션 : 공간을 나눈다는 뜻. 나누어진 볼륨을 파티션이라고 부르기도 함 리눅스에서 20GB를 할당하면 일부는 메모리와의 SWAP 스페이스 즉 가상 메모리로 할당하고 나머지는 루트 파티션으로 이용하여 그 하위 디렉토리들이 존재하게 된다. 이때 공간을 필요에 따라.. 2022. 1. 4. 이전 1 ··· 69 70 71 72 73 74 75 ··· 9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