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ud 07 - useradd 환경설정, login.defs, chage, groups, usermod, groupadd, chown, chmod, rpm, yum, wget, fedora, tar, 백그라운드 실행, crontab
리눅스는 namespace를 통해 Multi Access와 MT 클라우드는 내가 그 서비스가 필요할때만 신청해서 Unix는 가상화가 바로 되었기에 MA/MT 기능이 가능했다. 하지만 리눅스는 이게 불가능했기에 AMD가 VMWare을 만들어서 가상화가 가능하게끔 했다. 가상화, 클라우드가 필요한 이유 1. 비용절감(전기료, 사외 엔지니어를 안써도 됨) 리눅스는 초기 유닉스를 가져와서 Multi Access가 가능하다. 그래서 사용자 관리를 위해서 CLI를 써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리소스 관리를 위해서 CLI를 많이 쓴다. 이때 사용자 관리를 위해 두가지가 유저가 필요하다. 1. Super User : 시스템 전체에 관리 능력을 가지고 있다(root) 2. Normal User : 사용자에게 권한을..
2022. 1. 7.
Cloud 06 - 웹서비스, httpd, AWS ec2 사용하기, PPK만들기, VSCODE로 AWS 접속하기, 사용자와 그룹관리, useradd 만들때 암호화된 비밀번호 만들기, 쉘별 as 되게 하기
빅데이터 분석 블록체인 - SDN, NFV - ONOS IoT 웹서비스는 어떻게 제공되는가? 1. 위와같이 사용자가 공유기를 통해 ip가 NAT로 변환되어 인터넷으로 나간다. 이때 사설 ip는 (10.~ / 172.16. ~ 172.32 / 192.168. ~ )형식을 가진다. 2. 인터넷에서 ISP, 라우터, DNS를 거치어 서버가 있는 ip로 향하게 된다. 3. 서버에서 처음으로 웹 방화벽을 둔다. 가장 두껍고 보완이 철저한 방화벽이다. 4. 방화벽을 뚫으면 다시 서버들의 방화벽들을 만나고 이를 뚫으면 서버를 마주친다. 5. 서버에서 DB에 자원을 요청해서 테이블내에 필요한 행을 반환해준다. 이때 DB를 관리하는 시스템을 DBMS라고 부르고 이 DB들을 묶어서 클러스터링한다고 말한다. - 클러스터링 ..
2022. 1. 6.